×

민속

본문

호남가
호남가는 단가의 일종이며 남도소리 곡조이고 장단은 중머리이며 4,3각이 있다. 호남출신이면 누구나 직접 부르지는 못할 망정 한번 들으면 곧바로 흥을 느끼게 되고 특히 첫머리인 "함평천지 늙은 몸이 광주 고향을 보랴하고"까지는 거의가 부를줄 아는 노래다. 그래서 "호남가"의 이름은 몰라도 "함평천지"를 모르는 사람이 없고 이 노래 제목이 "함평천지"인줄 아는 사람이 많을 정도다.
이 노래의 가사를 지은 사람에 대해 국악보(國樂譜)에는 이 서구(李書九1754∼1825)가 전라도 관찰사로 있을 때 다른 고을처럼 제 고장에 대한 노래가 없는 것을 아쉬워 하여 지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신재효(申在孝) 계통에서는 신(申)의 작품이라고 주장하고 있기도하다. 이 노래는 전라도 주군현(州郡縣, 조선조 때) 57고을중 40개 고을의 이름을 산수와 순후한 풍속, 그리고 충효와 선행에 따라 말 풀이를 하였다. 함평에서 시작하여 임피(臨陂)에서 끝나는 호남가는 1백년만에 볼까말까한 목소리라는 임방울(林芳蔚)에 의해 불려 지면서 진가를 나타냈다. 1821∼1823년까지 함평현감을 지낸 권복(權馥)이 함평을 노래한 함산가(咸産歌)의 첫 구절에 "호남의 여러 고을을 노래한 호남가도, 첫머리에 함평을 부르지 않았던가"라고 한 것을 보면 170년전에도 호남가가 널리 불리어 오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호남가가 함평에서 머리를 잡은 것은 무슨 까닭일까? 여기에 대해 여러 가지 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이 귀결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함평(咸平)이라는 이름이 호남에서 제일 좋기 때문인 것이다.

"咸"은 모든 것이 가득차고 원숙함을 뜻하며 "平"은 평탄할 평, 바를평, 다스릴 평, 화할 평,고를 평, 쉬울 평, 거듭 풍년들 평 등의 뜻을 가지고 있고 제왕(帝王)의 가장 보람된 꿈인 태평성세를 내포하고 있다.

모든 것이 두루 화평스럽고 모든 것이 부족함이 없는 천지(天地), 이보다 더 좋은 이름이 없고 이러한 속에서 늙은 노인네가 빛고을(光州) 고향의 길을 떠나는 것은 참으로 부러운 모습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함평이 맨 먼저 노래되었을 것이다.



호남가(湖南歌)
함평천지(咸平天地) 늙은 몸이 광주(光州) 고향(故鄕)을 보랴하고
제주어선(濟州漁船) 빌려타고 해남(海南)으로 건너갈제
흥양(興陽)의 돋는 해는 보성(寶城)에 비쳐있고
고산(高山)에 아침안개 영암(靈巖)을 둘러있네
태인(泰仁)하신 우리성군(聖君) 예악(禮樂)을 장흥(長興)하니
삼태육경(三台六卿) 순천(順天)이요 방백수령(方伯守令)이 진안(鎭安)현이라
고창(高敞)성 높이 앉아 나주(羅州)풍경 바라보니
만장운봉(萬丈雲峰) 높이 솟아 층층(層層)한 익산(益山)이요
백리 담양(潭陽)의 흐르는 물은 굽이굽이 만경(萬頃)인데
용담(龍潭)의 맑은 물은 이 아니 용안처(龍安處)며
능주(陵州)의 붉은 꽃은 골골마다 금산(錦山)이라
남원(南原)에 봄이 들어 각색(各色) 화초(花草) 무장(茂長)허니
나무나무 임실(任實)이요 가지가지 옥과(玉果)로다
풍속(風俗)은 화순(和順)이요 인심은 함열(咸悅)인디
기초(奇草)는 무주(茂朱)하고 서기(瑞氣)는 영광(靈光)이라
창평(昌平)한 좋은세상 무안(務安)을 일 삼으니
사농공상(士農工商)이 낙안(樂安)이요 부자형제(父子兄弟) 동복(同福)이로구나
강진(康津)의 상고선(商賈船)은 진도(珍島)로 건너갈제
금구(金溝)의 금(金)을 이뤄 쌓인제 김제(金堤)로다.
농사(農事)하던 옥구(沃溝)의 백성(百姓) 임피상의(臨陂裳衣) 둘러입고
정읍(井邑)의 정전법(井田法)은 납세인심(納稅人心) 순창(淳昌)허니
고부청정(古阜靑靑) 양유색(楊柳色)은 광양(光陽)춘색(春色)이 팔도(八道)에 왔네
곡성(谷城)에 숨은 선비 구례(求禮)도 하려니와
흥덕(興德)을 일삼으니 부안(扶安)제가(齊家)이 아니냐
우리 호남(湖南)의 굳은 법성(法聖) 전주백성(全州百姓)을 거나리고
장성(長城)을 멀리 쌓고 장수(長水)를 돌아들어
여산석(礪山石)에 칼을 갈아 남평루(南平樓)에 꽃았으니
삼례(參禮)가 으뜸인가 거드렁 거리누나
주소 57147 전라남도 함평읍 기산길 163-16 전화 061) 322-0505, 324-4001 팩스 061) 322-0656
COPYRIGHT © 2024 hampyeong culture center hpcc.or.kr, ALL RIGHTS RESERVED.